프로젝트/Github

Github 파일 올리기

라임07 2022. 9. 21. 22:10

Github에 파일 올리기 전에 Git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합니다.

설치는 아래 링크를 통해 진행하시면 됩니다.

 

https://limestory07.tistory.com/19

 

Git 설치 및 등장배경

 

limestory07.tistory.com

 

 

 

github 설정


※ 우리 컴퓨터 : 로컬 리포지토리(Local Repositoty)

※ Github 주소 : 원격지 리포지토리(Remote Repository)

 

 Rapository 만들기

처음 Github를 접속하면 위와같은 화면이 뜨는데 왼쪽 위에 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합니다.

 

 

 

 

- 프로젝트 이름을 Repository name 항목에 적습니다.

-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을 적습니다 (필수X)

- 필요에 따라 gitignore 설정합니다. (필수x)

- 필요에 따라 license 설정합니다(필수x)

 

 

 

- 접근방법은 HTTPS 혹은 SSH(특정프로토콜)로 접근이 가능합니다.

※ 일반적으로 HTTPS로 접근을 많이합니다.

 

- Github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들

예) git init : Git 저장소(repository)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Git 명령어(Git 설치시 명령어 사용가능합니다)

 

 

 

 

 

Git 명령 테스트

명령프롬프트(cmd)를 실행합니다.

 

 

 

git :  git에 대한 도움말을 표시합니다.

 

git --version : 버전 정보를 나타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Git 환경설정

★ Github 연동 + Git 저장소로써 활용하기 위해

★ 컴퓨터 전체에서 동일한 옵션을 사용할 수도록 하기 위해

Git 환경설정을 해줍니다.

명령프롬프트(cmd)를 실행합니다.

 

 

 

 

git config --global user.name (Github 닉네임) : Github 닉네임을 환경설정 합니다.

git config --global user.email (Github 이메일) : Github 이메일을 환경설정 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Github & 컴퓨터 상의 폴더 연동하기


테스트를 위해 C드라이브에 Test 폴더를 만들어줍니다.

경로 [C:\Test]

 

 

 

 

 

접근할 HTTPS를 기억해둡니다.

 

 

 

 

 

명령프롬프트(CMD)를 실행 후 

cd (c드라이브 안에 만든 폴더) : c 드라이브 안에 Test 폴더로 이동합니다.

git clone (github링크) : Github 접근주소를 통해 컴퓨터 상의 폴더와 연동합니다.

 

 

하지만 폴더가 비어있기 때문에 Warning(경고)가 뜨지만

폴더를 들어가보면 만들었던 Rapository(Git-Tutorial)와 연동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아래 그림과 다르게 .git 폴더가 안보이신다면

 

 

[보기] - [옵션] 을 클릭합니다.

 

 

[보기] 탭을 클릭하고 스크롤을 내리다보면 "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" 체크를 해제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Github에 다양한 파일 올리기


Git-Tutorial 폴더 상에 Document 라는 메모장을 만들고, 그 안에 "안녕하세요"라는  내용을 씁니다.

 

 

 

 

cd [경로] : 경로로 이동합니다.

git add [파일] : 파일을 추가합니다.

git commit -m "Add Text File [파일명]" : 시점과 함께 파일을 저장합니다.

git push : github상에 파일을 올립니다.

 

 

 

 

 

Document.txt 파일이 올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